CATEGORY

분류 전체보기
Movie
이슈 잉글리시
와인의 세계
한류
이것저것
아르카 오토라벨러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LINK



  1. 2017.07.17
    '떠나기 전 해야할 일(Before I Disappear)' 죽기 전에 조카를 처음 보는 삼촌이야기
  2. 2017.07.11
    아이부터 어른까지 취향저격 액션영화 '아이 엠 넘버 포'
  3. 2017.07.08
    미국은 이대로 괜찮은가, 공포영화 겟아웃
  4. 2017.07.07
    잠의 위기 - 현대인의 수면부족과 부작용
  5. 2017.06.28
    또 하나의 일본영화 그리고 청춘영화 '핫로드(Hot Road 2014)'
  6. 2017.06.13
    아보카도 토스트 인덱스를 아시나요? 집 사는 데 웬 아보카도 토스트?
  7. 2017.06.07
    댄스하면 이 일본영화! 쉘 위 댄스
  8. 2017.05.25
    아오하라이드 - 풋풋한 일본 청춘영화를 보며 인생을 배워보자
  9. 2017.05.07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자기대화를 하는 사람들은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10. 2017.04.21
    설탕이 든 음료는 병원 내 마트, 편의점에서 제한되어야 하나?

사랑에도 실패하고 

인생에도 실패한 것 같은 삼촌 

그만 생을 마감하고 싶다

편지까지 다 써놓고 

욕조에 들어갔는데 

아직 때가 아닌가 보다 

누나로부터 거부할 수 없는 미션이 전달되었다 

그래... 죽기 전에 어떤 부탁인들 못 들어주랴.. 

조카를 데리러 학교에 갔다 

조카는 삼촌과 달랐다 

그래서 삼촌의 인생을 따라가게 하고 싶지 않다 

그렇다면 무엇이 최선의 선택인가 

조카바보 한 명 더 생겼네 이 영화 ㅋ 

거부할 수 없는 미션은 바로 

거부할 수 없는 조카였다 ㅎ 




거부할 수 없는 부탁... 알았어... 



조카 앞에서 솔직한 삼촌 ㅋ 



변호사 말 들어요. 금방 나가게 해 줄게요. 



삼촌 몰래 읽어서 미안해요. 

근데 그거 러브레터 맞죠? 






And

영화는 보기 전엔 모르는거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생각보다 재미있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좋아할 수 있는 

취향저격의 영화같음 

액션영화라면 평타는 친다 

안 볼 이유가 없는거다 ㅋ 

외계인을 지켜보는 인간들... 

우리도 외계인을 볼 날이 머지않았겠지? ㅎ 

어느 날 외계인과 마주치게 된다면 

인사정도는 해 줘라 

그게 그들에게 지구의 첫 인상이 될 수 있으니까

아이엠넘버포는 시리즈물이지만 

어느 편을 보든 실망하진 않으리^^ 














And

미국에서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 중 하나는 

인종차별이다

지금은 이전보다 더 심각해지는 중이어서 

인종갈등이 피해를 불러오기도 한다 

그 와중에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미국은 더 이상 이민자들에게 천국이 될 수 없음을 

알려주었다 

흑인은 몸만 좋은가? 운동만 잘하는가? 

이 영화는 흑인의 신체조건에만 집중하여 

스토리를 꾸몄다 

그래서 더 역겨운 느낌이다 

백인 우월주의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노골적인 돌려까기 느낌(?) ㅎ 

사람은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영화같은 세상이 현실이 된다면 

우리에겐 미래가 있는가? 

현실같은 영화기 때문에 더욱 무서운 

공포영화 겟아웃 




내적인 부분이 숨어있기 때문에 더욱 무섭다... 



함부로 대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다... 



운동인가? 



내가 누군지 알고 있다는 데 더 큰 공포 ㅋ 



흑인사랑 나라사랑... 




And

현대인들은 잠이 부족하다는데 

이는 꼭 그렇지도 않은 게 

나라마다도 다르고 사람마다 다르다 

그래도 우리의 잠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있으니 

빛과 소음 등의 전통적인 것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생겨난 부산물들에게서도 

잠 자는 데 방해를 받게 된다 

주요 질병들이 잠의 부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하니 

이것 또한 주목해야 할 부분 같다 

잠을 덜 자면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도 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모로 건강한 삶을 사는 데 불리할 것이다 

1940년대에는 8시간 이상 잤다는데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 

이것만 보면 우리는 불행한 것일까? ㅎ

우리는 더 자고 싶다~~~~!!! 

더 많이 일하고 잠을 줄이는 운동은 누가 만들었을까... 

우리 스스로 그렇게 만들었나? 

자본주의의 안 좋은 점이 하나 추가된 셈이다. ㅠㅠ 





더 많이 일하기 위해 덜 자는 것의 위험성 

The worrying effects of working more and sleeping less 

원본출처 : http://www.bbc.com/capital/story/20170707-the-worrying-effects-of-working-more-and-sleeping-less








The pressure to work more and sleep less is driving to global epidemic with worrying consequences, say neuroscientist Matt Walker. 

일을 더 하면서 잠을 줄이는 압력은 전 세계적인 유행이다.  




"Back in the 1940s people were sleeping on average just a little bit over eight hours a night, and now in the modern age we're down to around 6.7, 6.8 hours a night." says Matt Walker professor of neuroscience and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1940년대도 돌아가서 사람들은 밤에 8시간 이상을 잤고, 현대 사람들은 7시간 아래로 잔다." 고 버클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수 매트 월커는 말한다. 




"So, that's a staggering loss of sleep within the space of just 70 years, we're now almost at the stage where we've lopped off 20% of that." 

"70여 년의 기간 안에 발생한 엄청난 잠의 손실로, 우리는 현재 20% 정도 줄은 잠을 자고 있다." 




For adults, the modern world is full of things which reduce sleep. Caffeine, which keeps us awake. Alcohol, which fragments our sleep and suppresses dreaming. And although we've improved the conditions for sleeping, with everything from better mattresses to smoke-free homes, our controlled environment may also have created problems, Walker says. 

어른들에게는, 현대에는 잠을 적게 자도록 하는 것들로 가득하다. 깨어있도록 하는 카페인, 잠을 조각내거나 억제하는 알콜. 그리고 더 좋은 매트리스부터 금연을 하는 집까지 잠을 자기 위한 조건을 향상시켜 왔다고는 하나, 우리의 조정된 환경은 역시 문제를 만들어 내기 마련이다. 




"One, which people may find surprising, is central heating and central air conditioning. So, when the sun sets, temperature drops dramatically and when the sun rises it starts to pick back up. Our bodies expect that beautiful thermal lull. And what we have done is dislocate ourselves from the natural ebb and flow that tells us when it's time to sleep and actually helps us get to sleep." 

"사람들은 일몰과 일출과 같은 자연 상태의 빛과 온도를 찾지만, 우리가 한 것은 우리 스스로를 이러한 것으로부터 멀리해서 지금이 자야 할 때라는 것을 스스로에게 알리는 것이다."  




And then there's technology. No longer just artificial light, but all sorts of devices with LED screens, emitting a powerful form of blue light. 

그리고 기술이 있는데, 단지 인공 빛 뿐 아니라 모든 종류의 장치들 LED 디스플레이 에서 발산되는 강력한 형태의 파란 빛이 있다. 




"Now that blue light unfortunately will put the brakes on the release of a hormone called melatonin at night, and melatonin signals when you should sleep. 

"푸른 빛은 불행하게도 우리가 자야 할 때 멜라토닌이라 불리는 호르몬과 그 시그널이 밤에 방출되는 것을 방해한다." 

 



"Technology also causes sleep procrastination. Midnight is the time we think, well, we should probably send our last email, let me just check Facebook one more time." 

"기술 또한 잠의 지연을 발생시킨다. 한밤중이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이다. 우리는 아마도 마지막 메일을 보내야 하고, 페이스북을 한 번 더 체크해야 한다." 




And to all this, we can add the modern offspring of the early rising movement - the economic and social pressure to work more, sleep less, and be more like some famous world leaders - including Donald Trump, Barack Obama and Margaret Thatcher - who have claimed to exist on five hours of sleep a night or less. 

그리고 이 모든 것들에, 우리는 현대의 부산물인 일찍 일어나기 운동을 추가할 수 있다.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압력인 더 많이 일하고 적게 자는 것, 그리고 다섯 시간의 잠 또는 그 이하의 잠으로 살아남았다고 주장하는 도날드 프럼프, 버락 오바바 그리고 마가렛 대처를 포함한 몇 명의 유명한 세계의 리더들이 되는 것.




But should we be aspiring to be more like George W. Bush, who reportedly went to bed around 9pm and got as much as nine hours sleep each night? 

하지만 반대로 매일 밤 9시 정도에 잠을 청해 9시간 이상 충분히 잠을 자는 조지 워싱턴, 부시와 같은 리더들을 본받아야 할까? 




"Based on probably about 10,000 research study papers now.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survive on six hours of sleep or less and show no impairment, rounded to a whole number and expressed as a per cent, is zero." 

"아마도 만 여편 정도의 연구논문들을 바탕으로, 여섯 시간 또는 그 이하의 잠을 자면서 장애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수와 퍼센트는 제로에 가깝다."




Professor Walker says with anything less than seven hours' sleep, we start to see health consequences. 

7시간 이하의 잠을 자는 경우 우리는 건강 문제를 생각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월커 박사는 말한다. 




"Every major disease that is killing us in the developed world: Alzheimer's, cancer, obesity, diabetes, anxiety, depression, suicidality. All of them have direct now and very strong causal links to deficient sleep." 

"알츠하이머, 암, 비만, 당뇨, 걱정, 우울, 자살충동 같이 우리를 죽이는 모든 주요 병들은 잠의 결핍과 직접적으로 매우 상관관계가 높다." 


And


이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어둡다 

주인공들의 사랑을 그리는 순간에도 

밝은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청소년들이 등장하고 

오토바이가 등장한다 

문제아들 투성이다 

그래도 청소년들은 아프면서 성장한다 

그런 것을 보여주고 있는 일본영화 

상처가 있어도 꿋꿋하게 살아가려는 의지 

이 영화의 마지막에 보여준다 

얼마나 다행인가 

계속 어둡기만 한 것은 아니니 

우리들 인생에도 밝은 때가 생기길... ㅎ 




뭔가 엄청 멋져보이는 설정이다... ㅎ 



그 남자의 여자친구를 처음 알게 된 날... 



뭔가 부럽다? ㅋ 친구간의 우정 ㅎ 



And



한국은 커피와 비교할 수 있겠군요^^ 

지금은 저렴한 커피도 나오지만 얼마 전까지는 대부분의 커피가 비쌌으니 

좋은 비교가 될 수도 있겠어요 ㅎ 

아보카도 토스트는 음... 역시 이것도 싸진 않겠네요 ㅋ

그 와중에 홍콩봐라... 집값이.... 

런던은 최고치.. ㅋ 

시드니가 그나마 선방해주었음.. ㅎ 





각 도시에서 집 사는 데 얼마나 많은 아보카도 토스트가 드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인 아보카도 토스트 인덱스(Avocado toast index) 

The avocado toast index : How many breakfasts to buy a house? 



If young people stopped wasting their money on lavish things like toast, could they use that money to buy a house? We crunched the numbers to find out 

젊은 사람들이 아보카도 토스트 같이 돈을 흥청망청 쓰는 것을 그만둔다면 그 돈으로 집을 사는 데 쓸 수 있을까? 




If you're under 35, you're milennial. Recent culinary trends suggest that, while reading this, you might have an overpriced latte in one hand, and fancy piece of toast smothered with avocadoes in the other. And some suggest that you'd rather waste your money on an Instagrammable breakfast than make sensible investments like buying a house. 

당신이 35세 이하면 밀레이엄 세대다.(다행히 나도 여기 포함됨 ㅎ) 최근의 요리 트렌드는 지금 이 기사를 읽고 있는 당신은 아마도 한 손에는 바가지 씐 라떼, 다른 한 손에는 아보카도를 듬뿍 넣은 토스트를 들고 있을 지도 모른다. 또 다른 누군가는 집을 사는 등의 감각 있는 투자대신 인스타그램에 올릴 수 있는 점심에 돈을 낭비하는것을 좋아한다고 말한다. 




Well, so says conventional grumpy wisdom, most recently articulated by Australian tycoon Tim Gurner, who made international headlines this month for blasting young home buyers for their spending habits. 




The 35-year-old property developer told the Australian edition of 60 Minutes that when he was saving for his first home, he "wasn't buying smashed avocado for $19 and for coffees at $4 each." 

'Astralian edition of 60 Minute'에 출연한 35세 부동산 개발업자는 그의 첫 집을 위해 그가 저금을 할 때는 "$19의 아보카도와 $4의 커피를 사지 않았다" 고 말했다. 




He generated a flurry of debate, but also and interesting question: roughly how many pieces of avocado toast would it actually take to afford a home? We looked at 10 cities around the world, crunched the numbers and found out. Scroll to the bottom for our methodology. 

그는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흥미로운 질문이 있다. 

대략 얼마나 많은 아보카도 토스트를 아껴야 실제적으로 집을 살 수 있을까? 

세계 10개의 도시를 뽑아 계산해봤다. 





멕시코시티 3,123 아보카도 토스트, 요한네스버그 3,964 아보카도 토스트 



베를린 6,968 아보카도 토스트, 토쿄 11,538 아보카도 토스트 



시드니 11,815 아보카도 토스트, 뉴욕 12,135 아보카도 토스트 



샌프란시스코 15,975 아보카도 토스트, 밴쿠버 17,421 아보카도 토스트 



홍콩 19,816 아보카도 토스트, 런던 24,499 아보카도 토스트 



이들을 보기 좋게 그림으로 표현해보면, 이렇게...



We took the average cost for avocado toast in a handful of cafes in each city, and looked at how many you'd need to forego to afford a 20% deposit on a home. House prices are based the average price for a 90sq m apartment outside the city center, reported by users of cost-of-living website Numbeo. 

'눔베오'라는 생활비 웹사이트에 게재된 값과 도시 외곽의 90평방미터의 아파트 정도의 집을 기준으로 계산했다. 


And

'쉘 위 댄스

제목만 봐서는 일본영화인지 

할리우드 영화인지 구분하지 못한다 

일본영화 쉘 위 댄스... 

들어 본 것 같다 

그래서 기대를 하고 봤지만 

기대만큼은 아니다 

지루함이 있으니 주의하시라 ㅎ 

댄스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안 볼 수가 없을텐데 

다른 댄스영화가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래도 유명한 영화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생각은 다를 수 있다 

댄스를 배워가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고 

우리의 눈을 호강시켜 줄 

화려한 댄스를 기대하긴 어렵다 






기초부터 시작~ 



이름 모를 여인... 



의심되는 일이 생기면 사설탐정을... 



샐 위 댄스? 스기야마 씨... 



And

일본영화가 가끔 땡길때가 있다 

이 영화도 그럴 때 보면 좋은 영화다 

그렇다 흔한 영화다 

지루하다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서도 인생을 배운다고 하지 않는가 

이 영화를 통해서도 배울 것이 있다 

청춘이다 

아픈 만큼 성숙할 수 있다 

때로는 돌아가는 것도 필요하다 

인생이 풀리지 않을 때도 

우리는 미래를 그려야 한다 

특별하진 않지만 추천하고 싶은 영화 

아오하라이드 





교무실에선 당당하게!!! ㅎ 



봉지가 필요한 이유는...? 

설마...본....안돼~~!!! 



리더가 될 수 있는 기회닷 ㅋ 



어이 이봐~, 어차피 안될 거 같은데 찝쩝대지 말라구!! 



영화의 한 장면 같군... 

아, 이거 영화였지^^ 헤헤.. 







And

매우 흥미로운 기사네요 

거울을 보며 자신에게 말하는 행동이 

결국 성공을 불러온다는 건데 

자신감도 생기고 기억도 잘 되고 

아주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큰 소리로 말하기도 중요한 것 같아요 

아이들 발달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시도해 보는 것도 나쁘진 않을거에요^^ 

정신병자로 의심받을 수도 있지만 

성공한다는데 못 할 건 없겠죠^^ 








Why talking to yourself is the first sign of... Success? 

성공의 첫 신호가 왜 자기 자신에게 말하는 걸까? 

원문출처 : http://www.bbc.com/capital/story/20170428-why-talking-to-yourself-is-the-first-sign-of-success 






A London dentist stopped to looking in other's mouths and started opening his own. The results may be something for everyone to chew on. 

런던의 치과의사가 다른 사람의 입안을 보는 것을 그만두고 자신의 사업을 시작했다. 결과는 모든 사람의 비웃음 정도였다. 



Eugene gamble spent most of his career as a dentist in London, quietly and diligently working on people's teeth. Then, three years ago, he decided to give up his life's work to become an entrepreneur. 

유진 갬블은 런던에서 그의 경력 대부분을 보냈고, 사람들의 치아를 위해 묵묵히 성실하게 일했다. 그리고, 3년 전에 그는 그의 평생직업을 버리고 사업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There was just one problem: he has no good at business. As his ideas failed, his confidence plunged. 

하나의 문제가 있었는데, 그는 사업에 소질이 없었다. 그의 아이디어가 실패하자 그의 자신감을 상실했다. 




He could have gone back into dentistry but he was determined to succeed in the business world. So, he hired a business coach who gave him an odd piece of advice. "He told me speak out loud," says Gamble, who helps wealthy people invest in residential real estate. 

그는 치과의사로 다시 돌아갈 수도 있었지만 사업가로서 성공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래서 그는 비즈니스 코치를 고용했지만 코치의 조언은 이상했다. "그가 말하기를 크게 말하세요" 라고 하더군요, 거주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부자들을 돕는 갬블씨가 말했다. 




That's right. He was instructed to talk to himself. 

그게 옳았어요. 그는 그 스스로에게 말하라고 조언받았어요. 




"It was weird, because it was something new to me," he says. "I didn't believe that it could work, but once I tried it - it made perfect sense." 

"그건 좀 이상했죠, 나에게는 새로운 것이었어요." 그가 말했다. "그게 먹힐 지 믿지 못했지만 일단 시도하니 모든 게 맞아 떨어졌어요." 




Talking to ourselves may seem strange because we tend to associate speaking out loud to nobody in particular as a sign of mental illness. However, there's a growing body of research to indicate that self-talk can help memory recall, confidence, focus and more. 

우리는 아무도 없는데 크게 말하는 사람을 특별히 정신병의 신호로 보기 때문에 스스로에게 말하는 게 이상할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자기대화가 기억력과 자신감 그리고 집중력 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연구의 증가추세가 있다. 







"It's not an irrational thing to do," says Gary Lupyan, an associate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who has studied how hearing ourselves speak can impact our memories. "You don't know everything you're going to say - you can even surprise yourself." 

"그것은 비이성적인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말한 것을 스스로 듣는 것이 우리 기억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연구해 온 위스콘신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개리 루퍈이 말했다. 




His work, which is one of the most cited studies in this field, had people look at objects on a computer screen. Some had to say the name of the item out loud, while others were instructed to remain silent and keep the word in their head. The result? The ones who said the word out loud were able to locate the objects on the screen more quickly. 

이 분야에서 가장 인용이 많이 되는 연구 중 하나인 그의 작품은 컴퓨터 스크린에 나오는 물체를 보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이 조용히 있거나 머리속으로만 단어를 생각하도록 지시받은 반면, 몇 명은 물체의 이름을 크게 외쳐야 했다. 결과는? 단어를 크게 말한 사람들이 스크린에서 물체의 위치를 더 빨리 알 수 있었다. 




A similar experiment had people say the names of common grocery store items out loud. They then had to find those items by looking at photographs. The ones who said the words found the foods faster. 

일반적인 잡화점에서 물건 이름을 크게 말하도록 한 비슷한 실험이 있다. 그리고 그들은 사진 속의 물체를 보고 그것들을 찾아야 했다. 단어를 말한 사람들이 음식들을 더 빨리 찾았다. 




While we all know what a banana looks like, saying the word aloud helps the brain activat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at item, including what it looks like, he says. We will, of course, find the banana at the store regardless, but we'll find it faster if we speak the name. 

반면에 우리 모두는 바나나가 어떻게 생긴지 알고, 단어를 크게 말하는 것은 그것이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것을 포함한 그 아이템에 대한 추가정보 뇌를 활성화시킨다. 당연히 우리는 어떻게든 바나나를 찾을테지만, 우리가 이름을 말한다면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Saying a name out loud is a powerful retrieval cue." says Lupyan. "Language boosts that process." 

"이름을 크게 말하는 것은 강력한 검색 단서다." "언어는 프로세스를 강화시킨다."




Feel better with self-talk 

자기대화로 마음이 안정이 된다 






Anne Wilson Schaef, a former psychologist and now author and speaker, often encouraged her clients to speak to themselves. Not only did it improve her clients' memories, but it also changed the way many of them felt. For instance, if a patient was angry, she'd tell them to say out loud what they were upset about. The anger would then disappear. 

전 심리학자이자 지금은 작가와 연설가로 활동 중인 앤 윌슨 스캐프는 종종 그녀의 고객들에게 그들 스스로에게 말하라고 북돋는다. 그녀의 고객들의 기억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그들이 느끼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예를 들어, 환자가 화가났다면 그녀는 그들에게 무엇 때문에 화가 났는지 크게 말해보라고 한다. 그러면 화가 풀린다. 




"We're probably the most interesting person we know. Knowing ourselves and how we feel can help us improve." 

"우리는 아마도 우리가 아는 가장 흥미로운 사람일 것이다. 우리 자신과 느끼는 방법을 아는 것은 우리를 성장시킬 수 있다." 





Kross, along with several colleagues,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s that had people describe emotional experiences using their own names or words like "you," "he" and "she." He found that talking in the third or second person, helped people control their feelings and thoughts better than those who spoke in the first person. 

몇 명의 동료들과 함께 수행한 일련의 실험들에서 크로스는 "그", "당신" 그리고 "그녀"와 같은 단어를 사용해서 사람들에게 감정적인 경험을 서술하도록 했다. 그는 2인칭 또는 3인칭을 사용해 말하는 경우 1인칭으로 말한 사람들보다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And




Shops agree to limit sugary drinks sales in hospitals

원문출처 : http://www.bbc.com/news/health-39660747

병원 내 상점에서 설탕성분이 든 음료를 파는 것이 어딘지 모르게 불편했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WHSmith, Marks & Spencer, Subway and Greggs have all agreed to cut the proportion of sugary drinks they sell in their hospital shops in England. 

WHSmith, Marks & Spencer, Subway 그리고 Greggs는 모두 영국 내 병원 매장에서 설탕음료를 파는 비중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NHS England has asked all retailers with hospital outlets to limit the drinks to no more than 10% of the total beverages they sell by next April. 

NHS England는 내년 4월까지 그들의 병원안에서 장사하는 모든 소매점에게 음료를 10% 이상 팔지 않도록 요구했다. 




Companies that do not comply with face a total ban on selling sugary drinks in hospital shops. 

이것을 따르지 않는 회사들은 병원 내에서 판매하는 설탕음료의 판매를 금지하는 종합적인 조치를 맞게 된다. 




Campaigners welcomed the move to limit sugar intake in hospitals. 

운동가들은 병원 내에서 설탕 섭취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에 환영했다. 




Retailers have been asked to cut sales of drinks such as fruit juices with added sugar and coffees with sugar syrup and NHS England will ask them to provide sales figures to check on progress. 

소매점들은 설탕을 첨가한 과일주스와 설탕시럽을 넣은 커피와 같은 음료의 판매제한을 요구받아 왔고 NHS England는 진행사항은 검토하기위해 그들에게 매출액 제공을 요구할 것이다. 




All retailers in hospitals in England are being urged to make the changes to their stock. 

영국에 있는 병원의 모든 소매점들은 재고변경을 강요받고 있다. 




The plans are part of a health drive to cut obesity and tooth decay across the country. 

그 계획들은 나라 전체에 걸친 비만과 충치를 감소시키려는 건강운동의 일부다. 




NHS England said progress had already been made this year to remove all price promotions on sugary drinks and junk food sold in hospitals and to make sure healthy food options were available at all times for patients and staff. 

NHS England는 병원 내에서 판매되는 설탕음료와 정크푸드(불량식품)에 대해 모든 가격 프로모션을 없애거나 환자나 스태프들이 언제나 건강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미 이번 년도에 진행이 되었다고 말했다. 




Over the next 12 months, NHS England now wants hospitals to stock a healthier range of sweets and confectionery and more low-fat and low-calorie pre-packed sandwiches. 

NHS England는 현재 다음 12개월 동안 병원들이 더 건강한 범위의 달달한 것들과 과자 그리고 더 많은 포장된 저지방 저칼로리 샌드위치를 재고로 가지고 있기를 원한다. 





'Serious health problems'

'심각한 건강문제'





Simon Stevens, chief executive of NHS England, said: "A spoonful of sugar may help the medicine go down but spoonfuls of added sugar day in, day out mean serious health problems. 

NHS England의 최고경영자인 사이먼 스티븐스는 "설탕 한 숟가락은 약물을 넘기는 데 도움이 되지만, 매일 한 스푼은 심각한 건강문제를 의미한다." 고 말했다. 




"With more money spent each year on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diabetes than on the police, fire service and judicial system combined, urgent action is needed." 

"매년 경찰, 소방과 사법제도의 통합보다 비만과 당뇨 치료에 더 많은 돈을 쓰고 있어서 긴급조치가 필요하다. 




Katherine Button, Campaign for Better Hospital Food co-ordinator, said she was delighted by the move. 

베러 병원 음식 코디네이터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캐서린 버튼은 변화가 기뻤다고 말했다.




"NHS hospitals are trusted by patients, families and staff to keep them fit and well and NHS England is helping everyone to take a big healthy step in the right direction." 

"NHS 병원들은 환자와 가족 그리고 직원들에게 건강을 유지하고 좋게해서 신뢰를 받고 있으며, NHS England는 모든 사람이 올바른 방향의 건강한 발걸음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Chris Askew, chief executive of Diabetes UK, said it was great news that NHS England was "taking this step to make hospitals healthier places for all of us." 

Diabetes UK의 CEO 크리스 아스커는 NHS England가 "모든 사람을 위해 병원을 더 건강한 장소로 만드는 이러한 발걸음을 한 것"에 굉장한 뉴스라고 말했다. 




He added: "With this plan, people with type 1 diabetes should still have access to products that are commonly used to treat hypos." 

그는 "이 플랜을 가지고, 1형 당뇨병을 가진 사람들은 여전히 일반적으로 치료에 사용되는 hypo 치료 제품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And